Informative

2024년 2월은 왜 29일까지?

2024년 2월은

왜 29일까지?

#2월 29일 | #상식 | #윤날
No items found.
2월은 원래 28일까지 아니었나요? 이런 질문 요즘 많이 들으실 겁니다. 혹은 '왜 29일까지?'라는 의문을 가지신 분도 있겠지요. 2024년 2월이 29일의 유래, 지금부터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윤'은 '남아서 덧붙이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윤일, 윤달, 윤년은 모두 남는 시간을 채운다는 의미입니다. 아직은 어려운가요? 그럼 윤날과 윤년부터 알아볼까요?

우리에게 익숙한 달력은 '태양력(그레고리력)'을 바탕으로 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기간인 365일을 1년으로 기준 삼아 달력을 만든 것이죠.

그런데 엄연히 말하자면, 그레고리력에서 1년은 365.2422일이어야 한답니다. 지구가 태양을 따라 365일 꼬박 돌고도 약 0.25일 즉 1/4일 정도 더 나아가야 한 바퀴를 다 돌 수 있거든요. 1/4일은 대략 6시간 정도인데 이것까지 셈하자니 달력이 너무 복잡해져 365일을 1년으로 '퉁' 쳤을 겁니다.

하지만 365일을 1년으로 삼다 보면, 지구가 태양 한 바퀴를 덜 돌아도 한 해 두 해 지나고, 4년쯤 지나서는 거의 하루나 덜 돈 상태가 됩니다. 이대로 40년이면 열흘 차이가 나고, 400년이면 100일만큼 덜 돈 상태이겠지요. 100일이면 한 계절을 지나고도 남는 기간! 이 정도면 달력의 의미가 없습니다. 달력은 본디 계절에 맞춰 농사와 국가 대소사를 관장하려는 목적인데, 계절이 어긋나는 셈이니까요. 그래서 추가한 해법이 바로 '윤날'입니다.

윤날은 4년마다 하루를 더해, 지구가 태양을 꼭 한바퀴 다 채우는 시점을 맞추는 장치입니다. 2월 29일이 바로 윤날이죠. 윤날을 둔 해는 윤년이라고 부른답니다. 즉 1년 365일의 '평년' 세 번에 1년 366일의 '윤년' 한 번을 두면, 4년간 연평균 일수를 365.25일로 맞출 수 있습니다. 2월 29일 단 하루 덕분에 달력과 계절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셈이에요. 윤날과 윤년의 힘이 크지요?

조금 더 덧붙여 설명해 볼까요?
앞서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365.2422일이라고 했지요. 대략 0.25일로 계산해 윤년과 윤달을 두었지만, 엄연히 셈하자면 4년에 0.0078일의 오차가 생깁니다. 백년, 천 년 뒤를 고려한다면 이 또한 조정할 필요가 있겠지요. 그래서 그레고리력은 윤날(윤년)뿐 아니라 몇 가지 규칙이 더 있답니다.

그레고리력의 법칙

1 4년에 한 번은 윤년으로 한다(4로 나누어 딱 떨어지는 해)
2 100년에 한 번은 윤년으로 하지 않는다(100으로 나누어 딱 떨어지는 해)
3 2의 규칙의 예외 규정으로 400년에 한 번은 윤년으로 한다(400으로 나누어서 딱 떨어지는 해)

규칙 1에 따라 4로 나누어 딱 떨어지는 2024년은 윤년입니다. 다음 윤년은 2028년이겠지요? 2100년은 4로 나누어떨어지지만, 규칙 2에 따라 윤년이 아니고요. 2400년은 규칙 2에 따르면 윤년에서 제외되지만 규칙 3에 따라 400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윤년입니다. 이 규칙 덕분에, 그레고리력은 오차가 수천 년에 단 하루 정도라고 해요. 이것 또한 교정(?)하자는 주장이 있답니다. 천문학자 W.허셀은 1만 년마다 4일 정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 4000년의 배수인 윤년을 평년으로 하자는 제안을 내세운 적 있어요. 단 지구의 공전주기는 매년 미세하게 다르다고 해요. 또 최근 지구의 자전이 조금씩 느려지고 있다니, 그레고리력에 변수가 될 수 있겠지요.

윤날을 앞두고 그 유래와 원리를 알아보았습니다. 달력은 엄연히 천문학과 수학의 결정체랍니다. 그중에서도 놀라운 셈법이 돋보이는 윤날입니다. 과장 아닌 과장을 좀 하자면, 다가올 2월 29일 덕분에 400년 뒤에 3월도 봄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겁니다. 물론 기후 위기 같은 변수를 배제한다는 전제하에 말이죠.


양력 윤년 ≠ 음력 윤년

앞서 소개한 윤날과 윤년은 그레고리력, 즉 태양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음력에도 윤년이 있지요. 음력의 윤년은 '윤달'이 있는 해를 가리킵니다. 원리는 양력의 윤년과 유사하지만, 목적은 조금 다른데요. 음력은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한 달로 잡고 1년을 계산합니다. 음력의 1년은 354.367일로 양력보다 11일가량 짧아요. 음력과 양력 간 차이를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윤달을 도입했습니다. 2~3년마다 한 달 또는 8년마다 3달을 추가한 것이죠. 일례로 지난 2020년은 음력 4월이 윤달(윤4월)이었고, 2023년은 음력 2월(윤2월)이었습니다. 내년 2025년 역시 음력 6월(윤6월)이 윤달이랍니다.
토속신앙에서 윤달은 하늘과 땅이 쉬는 기간으로 여겼습니다. '송장을 거꾸로 매달아 놓아도 탈이 없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로, 불경스러운 일도 무사히 치를 수 있다고 여겼는데요. 그래서인지 윤달에는 묘를 이장하는 건수가 크게 는다고 해요. 이외에도 윤달 관련해 여러 가지 풍습이 전해집니다.

윤달의 풍습

1 윤달에 부모님 수의를 준비하면 부모님이 장수한다
2 윤달에 집수리하면 악재를 피할 수 있다
3 궁합이 안 좋아도 윤달에 결혼하면 탈이 없다
4 단 궁합 좋은 커플이 결혼하면 조상의 공덕을 못 받을 수 있으니 피하는 게 좋다